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어른이 일상tip102

차이코프스키 1812년 서곡_ Pyotr Ilich Tchaikovsky - 1812 Overture 차이코프스키 1812년 서곡_ Pyotr Ilich Tchaikovsky - 1812 Overture 오늘은 차이코프스키의 '1812년 서곡'으로 목요일 밤을 마무리 하려고 합니다. 1812년 나폴레옹의 침공을 물리친 러시아 국민의 저항과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1880년 작곡된 연주회용 서곡으로,차이코프스키 특유의 슬픔과 애잔함과 달리 승리의 기쁨과 환희가 느껴집니다. 이 곡에 등장하는 프랑스 국가(라 마르세예즈) 선율은 침공을, 러시아 국가 선율은 저항과 반격을 의미하는데요, 점차 러시아 국가 선율이 압도해 가고. 파이널에선 승리의 상징인 교회 종소리와 대포 소리가 울리며 작품은 절정에 이릅니다. 종소리는 차임벨이 대포는 큰 북으로 표현하지만, 야외공연 때는 실제 대포도 사용하기도 한답니다. 앞서 유럽.. 2018. 7. 26.
공양예절_ 발우공양과 상공양, 불교상식에 대해 알아보자 공양예절_ 발우공양과 상공양, 불교상식에 대해 알아보자 불교에서는 밥 먹는 것을 '공양'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불교에서 공양하는 것에 대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특히 출가한 스님들에게 공양하는 것은 단지 굶주림을 면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한 것이 아닌 삼보와 사중의 은혜를 갑고 삼도 중생의 고통을 건지기 위한 수행의 방편입니다. 즉 안으로는 부처님으 진리를 체득하고 밖으로는 모든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먹는 것이죠, 또한 재가불자도 공양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한 알의 쌀이 내 입에 들어오기까지는 무수한 사람들의 정성과 노력이 있어야 했기 때문에 이 하나 하나의 노력에 대한 감사를 표시하며 먹습니다. 불교의 공양법은 크게 두종류로 나뉘는데 상공양과 발우공양 입니다. 상공양.. 2018. 7. 11.
화가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urer)의 작품세계와 배경 화가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urer)의 작품세계와 배경 1494년, 이탈리아 베네치아에 나타난 독일인 화가 알브레히트 뒤러,, 경이롭고 화려한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예술에 메혹되었는데요, 뒤러가 르네상스 정신을 추구하고 있었다는 것을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작품은 1498년에 그린 "26세의 자화상"입니다. 여기에서 뒤러는 그림 속 자신의 모습을 통해 르네상스의 이상을 표현하려 하였는데, 그는 자신의 모습을 묘사할때 약간은 자만에 차있는 모습이며, 그당시 유행하는 의상을 멎지게 차려 입은 젋은이로 그렸습니다. 하지만 판화를 그릴 때는 이탈리아 양식을 덜 받아 들였는데, 1498년에 제작된 "계시록의 네 기사"에는 후기 고딕 양식의 요소들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 그림에서는 요한계시록이 .. 2018. 7. 6.
파의 성분과 특성, 손질과 보관법(대파, 쪽파, 실파, 움파) 파의 성분과 특성, 손질과 보관법(대파, 쪽파, 실파, 움파) 파의 주산지는 중국이며,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습니다. 열대지방에서는 잎아가, 한대지방에서는 줄기파가 주로 재배되며, 온대지방에서는 겸용종이 재배됩니다. 진도, 부산, 대구, 아산, 남양주 등이 대표적인 주산지 입니다. 파의 성분과 특성 파의 자극 성분은 이황화아릴로 살균, 살충의 효력이 있는데요, 파의 최루성 향기성분인 알린은 체내에 흡수되어 비타민B1의 이용을 도와 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1. 대파의 특성 # 중생종은 흰부분의 굵기가 2.5~3.0cm, 중량 250~330g으로 잎이 부드러우며 탄력이 있습니다. # 만생종은 중생종보다 흰부분이 굵고 긴 특징이 있습니다. 2. 쪽파의 특성 # 조생종은 둥.. 2018. 6. 29.
당랑규선(螳螂窺蟬)의 뜻과 유래 당랑규선(螳螂窺蟬)의 뜻과 유래 螳 : 버마재비 당 螂 : 버마재비 랑 窺 : 엿볼 규 蟬 : 매미 선 당랑규선 : 사마귀가 매미를 잡으려고 엿보고 있고, 그 사마귀는 뒤에서 참새가 노리고 있다는 것을 모른다는 뜻으로즉. 눈 앞의 이익에 눈이 어두워 뒤이을 걱정거리나 고난을 생각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螳螂窺蟬(당랑규선)의 유래 춘추시대 말기에 월왕, 구천은 오나라에 패한 일이 있었습니다.그는 이를 분히 여거 이를 갈며 보복하고자 했습니다. 오왕 부차에게 미녀 서시를 보내어 유락에 빠져들게 하고 오나라의 태재, 백비에게도 뇌물을 보내어 충신을 욕하게 했습니다. 오나라의 상국 오자서는 자주 부차에게 간했는데 부차는 백비의 중상을 믿고 오자서에게 모반할 뜻이 있다고 의심하게 되었습니다. 부차는 오자서에게 검.. 2018. 6. 14.
불교예절 차수(叉手)와 합장, 호궤합장 불교예절 차수(叉手)와 합장, 호궤합장 차수(叉手)는 한자 풀이 그대로 손을 교차한다는 뜻으로 평상시 도량에서 하는 자세 입니다.손에 힘을 주지 말고 자연스럽게 교차하여 왼손의 손등 부분을 오른손으로 가볍게 잡고 단전 부분에 가볍게 대고 있는 자세를 말합니다.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손을 바꾸어서 왼손으로 오른손을 잡아도 무관한데, 어느 손이 위로 향하는가 하는 문제는 사람마다 편하게 하면 된다고 합니다. 불교에서의 합장은 부처님이 태어나신 인도의 전통적인 인사법으로서 인사 및 예불, 법회 등 불교 생활 전반에 걸쳐 가장 많이 쓰이는 예법입니다.합장은 손바닥을 마주 합하는 자세인데 손바닥이 밀착하여 빈틈이 없어야 하며 손가락 사이가 벌어져서도 안됩니다.두 손을 통해서 마음을 모으고 나아가 나와 남이 둘이 .. 2018. 3.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