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육신(死六臣)과 생육신(生六臣) 수양대군 세조(世祖)실록
사육신(死六臣)은 모두 학식이 깊고 청빈했다.
성삼문, 박팽년, 이개, 유성원, 유응부, 하위지 등이 사육신(死六臣)에 속하며 이들은 모진 고문을 받으면서도 모두 절개를 지켰고, 세조와 추국관인 신숙주를 꾸짖었다.
이개(李塏)는 고려 말 대학자였던 이색의 증손자였으며, 태어날 때 하늘로 부터 " 태어났느냐? 태어났느냐? 태어났느냐?" 3번 물음이 있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성삼문(成三問)은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에 공헌한 인물이다.
" 너희들이 어찌하여 나를 배반하는가? " 라는 세조(世祖)의 국문에
" 옛 임금을 복위하려 했을 뿐이다. 천하에 누가 자기 임금을 사랑하지 않는 자가 있는가?
나으리가 남의 나라를 빼았고 나의 군주가 폐위 당하는 것을 보고 견딜수가 없어서 그러는 것이다.
나으리가 평소 걸핏하면 주공(周公)을 자칭하는데 주공도 이런 일이 있었소?
하늘에 태양이 둘이 없고, 백성은 군주가 둘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리라"
성삼문(成三問)의 당찬 말에 화가 치민 세조는 쇠를 달구어 다리를 뚫게하고 팔을 자르게 했으며, 아버지 성승과 함께 성삼문은 멸문지화를 당했다.
(아! 왕에게 나으리라고 하다니..대쪽 같은 선비의 기개여! 만고의 충신이여~~)
유성원(柳誠源)은 붙잡혀 가기전에 부인과 함께 자결했고,
유응부(兪應孚)도 매우 청렴하여 죽은 뒤에 재산을 몰수 당했으나 방에는 해진 짚자리만 있었다고 한다.
죽어서 충성을 다한 사육신(死六臣)이 있다면, 살아서 단종에게 충성을 다한 생육신이 있다.
생육신(生六臣)은 살아 있으면서 귀머거리나 소경인 채, 또는 방성대곡 하거나 두문불출하며 단종을 추모했던 인물들이다.
김시습, 원호, 이맹전, 조려, 성담수, 남효온 등이 생육신(生六臣)으로 불린다.
세조의 비행을 가장 적극적으로 고발한 인물인 남효온은 그때 당시 겨우
두 살이었는데, 나중에 세조(世祖)의 찬탈행위를 비난함으로써 생육신이 된 인물이다.
원호(元昊)는 원주의 남송촌에서 세상을 등졌고,
이맹전(李孟專)은 선산 강정리 전원에 묻혀 살았는데 대궐을 향해 앉지도 않았다고 한다.
조려(祖旅)는 낙동으로 돌아와 낚시질로 생을 마쳤는데 세상을 등지고도 번민함이 없는 뜻이
김시습(金時習)과 같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성담수(成聃壽)는 부친 성희가 성삼문의 역모죄에 연루되어 벼슬길이 막힌 채 죽자
파주의 어버이 묘 밑에 살면서 한 번도 한양에 이르지 않았다고 한다.
생육신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이 김시습이다.
김시습(金時習)은 3살에 이미 시에 능했고,
5살에는 < 중용 > < 대학 > 에 통했다고 알려진 조선의 천재였다.
(헉! 그럼 천자문은 언제 떼었다는게지?)
김시습은 21세 때 수양대군이 왕위에 올랐다는 소식을 듣고 통분하여 책을 태워버리고 중이 되어
이름을 ' 설잠 ' 이라 짓고 방랑을 하다 죽었다.
김시습(金時習)은 유교, 불교, 도교에 모두 통하였으며 재주와 지혜가 탁월하였는데
아까운 천재 하나가 시대와 타협하지 못하고 쓰러져버렸다.
김시습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 단편 소설집인 《금오신화》를 썼으며, 탁월한 문장으로 일세를 풍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