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른이 건강관리

급성 스트레스 장애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기준

by show쇼 2017. 10. 13.
반응형

급성 스트레스 장애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기준


# 급성 스트레스 장애 진단기준


급성 스트레스 장애(acute stress disorder)는 외상적 스트레스에 노출된 이후 한달 이내에 정서적 반응의 마비와, 소외, 결핌에 대한 객관적인 느낌, 주변에 대한 자각의 감소(예 멍한상태), 현실감 손실, 이민증, 해리성 기억상실(예 : 외상을 부분적으로 회상하지 못함),등 해리성 증상 중 세가지 이상의 적어도 2일간, 그리고 길게는 4주간 지속되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하는데요,


이 장애에서는 증상의 최소발현기간을 1개월로 정해져 있으며 새로운 진단기준인 금성 스트레스 장애는 2일에 4주간 증상이 지속되는 환자를 말하고 있습니다.




급성스트레스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기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는 죽음의 위협이나 심각한 상해, 신체적 안녕을 위협하는 사건에 대한 직접적 경험, 그리고 신체건강을 위협하는 사건의 목격, 가족이나 친지의 예상치 못한 죽음이나 심각한 장애 및 이들이 경험한 죽음이나 상해의 위협 등 극심한 외상적 스트레스 사건에 노출된 이후 이 사건들에 대한 반응으로 극심한 공포와 무력감, 두려움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런 외상은 전쟁을 경험, 자연재앙, 폭력, 강간 및 심각한 사고를 포함합니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환자는 모든 사람에게 널리 고통을 줄 수 있는 예외적으로 위험하거나 재해적 성격을 띤 스트레스성 사건이나 상황에 노출되어야 한다 (짧거나 또는 길거나 함).


2. 스트레스 인자와 연관되거나 비슷한 상황ㅇ에 노출되었을때 끊임없는 과거 장면의 재현, 생생한 기억 또는 재생되는 꿈 또는 고통을 경험하며 스트레스 인잘르 끊임없이 기억하려 하거자 배제하려는 점이 있어야 한다.


3. 스트레스 인자에 노출되기 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스트레스 인자와 비슷하거나 연관된 상황에서 실제적으로 회피하려는 행동을 나타내 보여야 한다.


급성스트레스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4. 아래 사항들이 나타나야 한다.

  

  (1)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스트레스 인자에 노출된 시기의 중요한 일면을 기억하지 못함.


  (2) 스트레스 인자에 노출되기 전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증가된 심리적 예민감이나 작성등의 지속적 증상을 다음 사항 중 두가지 이          상보여야 한다.

     ① 잠들거나 수면유지의 곤란

     ② 안절부절못함 또는 분노발작

     ③ 집중력의 어려움

     ④ 과조심

     ⑤ 과장된 놀람반응


5. 기준 2, 3, 4,는 스트레스 기간의 끝이나 스트레스를 주는 사건 후 6개월 이내에 모두 만족되어야 한다(어떤 경우 6개월 후에 발병이 지연되는 경우도 포함시키는데, 이때는 명백히 상세히 기술해야 한다).



급성스트레스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반응형